안녕하세요!
화요일에도 찾아온 상생어벤져스입니다.
미세먼지 농도가 짙으니 이웃님들 모두 마스크 꼭 착용하시길 바라요!!

오늘은 우리나라에서 띠부띠부씰을 (일명 띠부씰) 랜덤으로 증정하는 빵들이
어떤 마케팅 전략으로 성공을 거두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적 이슈까지 함께 상생어벤져스와 봅시다!
🔍띠부띠부씰이 뭐길래?

‘띠부띠부씰’은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스티커로,
특정 캐릭터나 브랜드를 테마로 제작된 것이 특징!
특히 빵과 함께 랜덤으로 제공되면서 ‘수집 욕구’를 자극하는 마케팅 요소로 활용됩니다.
이 스티커가 단순한 부록이 아니라, 빵 자체보다 더 큰 가치를 가지는 경우도 많아요.
이제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국진이 빵부터 시작해서 포켓몬빵, 쿠키런빵,
그리고 최근의 KBO빵 (일명 크보빵) 까지 다양한 캐릭터를 활용한 제품들이 큰 인기를 끌었어요.
그럼, 상생어벤져스와 함께 이 빵들이 어떻게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았는지 한 번 볼까요?
🥐캐릭터 빵의 시초, 국진이빵

1990년대 중반, 개그맨 김국진의 인기에 힘입어 출시 되었던 ‘국진이빵’은
도산 직전이었던 삼립을 살려낸 일등공신이자, 캐릭터 빵의 시초라고 볼 수 있어요.
당시 최고 인기의 연예인을 모델 그리고 캐릭터로 기용해 만들어진 국진이빵은
당시 월 평균 40억원의 매출을 자랑했습니다.
🍞포켓몬 빵이 불을 붙인 랜덤 띠부씰 마케팅

띠부띠부씰을 활용한 마케팅의 본격적인 시작은 1999년에 출시된 ‘포켓몬빵’이에요.
당시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가 큰 인기를 끌며
포켓몬 캐릭터가 그려진 띠부띠부씰을 모으는 것이 어린이들 사이에서 유행했습니다.

💡포켓몬빵 마케팅 포인트
(1) 랜덤 요소 활용
소비자는 원하는 스티커를 얻기 위해 반복 구매를 하게 됨
(2) 콜렉팅 요구 자극
다양한 포켓몬 종류의 스티커를 제공해 전종 수집을 유도
(3) 노스텔지어 마케팅
2022년 재출시 당시 90년대생들의 향수를 자극하며 폭발적 인기
특히 2022년 재출시 이후 1년간 약 1억개 이상 판매되며 삼립의 매출을 대폭 상승시켰어요.
어린 시절 포켓몬빵을 즐겼던 2030 세대가 향수를 느끼며 다시 찾기 시작했고,
SNS와 유튜브에서도 ‘포켓몬빵 띠부씰 모으기’와 같은 콘텐츠가 유행하면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그야말로 띠부씰 열풍의 부활이었죠.
⚾KBO 빵, 야구팬들의 마음을 사로잡다

올해는 야구팬들을 위한 ‘KBO빵’이 출시됐어요.
한국야구위원회(KBO) 및 프로야구선수협회와 협업해 만든 이 빵은 롯데를 제외한 9개 구단별 제품이 나오면서
야구 팀별 팬들의 소장 욕구를 자극했어요.
(롯데는 롯데제과 자회사가 있어 불발…😥)

🏆KBO빵 마케팅 포인트
(1) 팬덤 마케팅
특정 팀을 응원하는 팬들의 충성도를 활용
(상생어벤져스 스타로드와 에마프로스트는 이미 크보빵 한바가지씩 샀답니다…)
(2) 한정판 전략
국가대표 시리즈, 팀 마스코트 시리즈와 같은 라인업을 공개해 지속적인 구매 유도
(3) 커뮤니티 확산
소비자들이 SNS에 스티커 인증샷을 올리며 자연스럽게 바이럴 효과 발생
이처럼 띠부띠부씰을 활용한 마케팅은 단순한 스티커 증정이 아니라,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소비자들의 반복 구매를 유도하는 강력한 전략이에요.
📌띠부씰 마케팅이 부른 사회적 이슈
하지만 이렇게 큰 인기를 끌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들도 발생했어요.

👀주요 이슈들
✔빵이 버려지는 문제
스티커만 챙기고 빵은 먹지 않는 소비자가 많아 식품 낭비 문제로 번지며 사회적인 파장 발생
✔리셀(되팔기) 시장 형성
희귀 띠부씰은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높은 가겨으로 거래되며 ‘스티커 투기’ 현상까지 발생
✔랜덤 박스 논란
원하는 스티커를 얻기 위해 무분별한 소비가 이루어지면서, ‘랜덤 뽑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생김
기업 입장에서는 매출 증가와 브랜드 강화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렸지만,
소비자 윤리나 환경적인 부분까지 고려해야 하는 숙제가 남게 되었습니다.
🎯띠부띠부씰 마케팅, 앞으로는?
띠부띠부씰을 활용한 마케팅은
지금까지 매우 효과적인 전략으로 자리 잡았지만,
지속 가능성을 위해 몇 가지 변화가 필요할 듯 해요.

📢미래의 마케팅 방향
✔디지털 띠부씰
종이 스티커 대신 NFT나 모바일 앱을 활용한 디지털 수집 시스템 도입 가능
✔공정한 확률 공개
랜덤 제품의 확률을 투명하게 공개해 소비자 신뢰 확보
이런 방향으로 발전한다면, 띠부씰을 활용한 마케팅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지속적인 성공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띠부띠부씰을 활용한 빵 마케팅은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강력한 전략이었는데요.
하지만 그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들도 발생했기 때문에,
앞으로는 좀 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발전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저희 상생어벤져스는 디자인 / 영상 콘텐츠 제작부터 개발까지
마케팅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다 갖추고 있는 종합 IMC 기업이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문의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