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생어벤져스입니다!

디지털 마케팅이 발전하면서, 이제는 단순히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입니다.
제품을 어떻게 ‘눈에 띄게 보여줄 것인가’,
그리고 ‘클릭 후 어떻게 설득할 것인가’가
곧 마케팅의 핵심이 되었죠.
오늘은 저희가 진행한 GDN 광고 사례 중
한 화장품 브랜드 마케팅을 통해,
구글배너광고를 활용한
GDN 마케팅을 어떻게 기획해야
‘잠재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는지’
소개 드리겠습니다.
📌 GDN이란?

GDN은 구글이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광고 네트워크로, 전 세계 200만 개
이상의 웹사이트, 유튜브, 앱 등에
광고 배너를 노출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즉, 검색광고처럼 사용자가 직접 ‘찾는 것’이 아니라,
배너광고 형태로 먼저 보여주는 구글배너광고
플랫폼이기 때문에, 제품을 모르던 소비자에게도
브랜드를 먼저 인식시킬 수 있는 채널입니다.
💗 잠재 고객을 끌어당긴
GDN 기획 포인트 3가지

1️⃣ 문제 인식형 카피
+ 뷰티 페르소나 중심의 메시지 설계
“뭐야? 저 언니 피부 봐.. 나 1일 1팩밖엔 안했는데?”
→ ‘나도 매일 팩하는데, 왜 효과 없지?’
라는 감정에 공감 유도
구글배너광고 소재는 제품을 설명하는 대신,
고객이 직접 피부 변화를 체감한 듯한 대사형
카피를 삽입해 광고의 주목도를 극대화했습니다.
특히 뷰티 소비자들이 흔히 겪는 ‘효과 없음’
문제에 포커싱해 클릭률을 높였습니다.
2️⃣ 팩트 기반 신뢰성 강조
+제품 효능 직관적으로 시각화
“매일 밤 붙이고 잤을 뿐인데, 모공이 잘 안 보여요.”
→ 93.3% 흡수 만족도,
실제 후기 느낌의 별점 리뷰 시각화
기존의 배너광고들이 단순한 문구나 제품컷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다면, 본 캠페인은
뷰티 시장에서 흔한 ‘후기 조작’에 대한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정량적 수치와
리뷰 포맷을 광고 이미지에 함께 노출했습니다.
“광고처럼 보이지 않는 후기형 이미지”는
브랜드 신뢰도 상승에 기여합니다.
3️⃣ Before/After
비교를 통한 강한 시각적 설득
“아직도 피부과에 월급 쏟아붓고 있나요?”
→ ‘광고비는 줄이되, 효과는 피부과급’
이라는 강한 메시지
이 소재는 20~40대 여성 직장인 타겟에게
특히 유의미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 구글배너광고는 Before/After 비교컷과 함께,
제품에 대한 기대감을 직관적으로 전달하여
브랜드 검색 유입 증가에 기여했죠.
✅ 성공하는 GDN 마케팅,
이렇게 시작해 보세요

먼저, 광고 타겟팅은 명확하고 구체적일수록
좋습니다. 단순히 연령과 성별만이 아니라,
관심사 기반의 타겟 설정, 구매 가능성이 높은
유사 오디언스, 그리고 제품 상세페이지나
장바구니 이탈자 등을 대상으로 한
리마케팅 구성이 필수입니다.
그다음은 광고 카피입니다.
“왜 효과가 없을까?” 같은 문제 인식형 질문이나,
리뷰형 카피는 소비자의 감정을
건드릴 수 있어 특히 효과적입니다.
이미지 디자인은 Before/After 비교,
후기 기반 시각화, 효능 수치 강조 등으로 구성하여
정보를 이미지 안에서 바로 설득할 수 있어야 하며,
CTA는 명확하고 직관적일수록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광고를 클릭한 이후 흐름도 중요합니다.
GA4 기반 전환 분석을 통해 어떤 오디언스가
실제로 구매까지 연결되는지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Meta 광고
리타겟팅으로 연결하는 것이
GDN의 실효성을 높이는 핵심 전략입니다.
🔍 마무리하며

GDN은 단지 “많이 노출되는 광고”가 아닙니다.
정확한 오디언스를 향해,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메시지를 던질 수 있는 채널입니다.
소비자가 느끼는 문제와 고민을 정확히 짚고,
공감형 카피와 시각자료로 전달하면 클릭률은 물론,
브랜드 검색·구매 전환까지 이어지는
풀퍼널 전략이 가능합니다.
오늘도 상생어벤져스의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