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생어벤져스입니다

수출바우처는 “얼마 받았나”보다
“누구와 쓰느냐”가 성과를 좌우합니다.
번역-랜딩-광고-바이어 발굴-인증·관세까지
엔드투엔드로 연결할 수 있는 파트너와
30일 파일럿 → 60~90일 확장으로 가설을
검증하세요. ROI는 그때부터 달라집니다.
수출바우처, 이것만 알면 된다

정부가 선정기업에 바우처를 지급하고,
기업이 포털에서 필요한 수출지원 서비스를
자율 조합해 결제하는 제도입니다.
마케팅, 번역, 해외인증, 전시, 물류, 지재권
보호까지 한 장의 바우처로 묶어 실행할 수 있죠.
📌 핵심은 “예산 규모”가 아니라 “실행 품질”입니다.
그 품질을 만드는 주체가 수행기관입니다.
왜 ‘수행기관’이 성패를 가를까?

1) 전략-실행의 연결 품질
핵심국가-오퍼-채널 믹스를 일관 설계·일괄
집행해야 클릭 → 리드 → MQL → 수주로 선형
전환됩니다. 포털 구조상 여러 서비스를 조합하므로
프로젝트 관리력이 곧 성과 편차입니다.
2) 최신 공고·요건 대응력
연도·유형별 한도·보조율·필수 증빙이 바뀝니다.
이를 선제 반영하는 기관일수록
지연·반려 리스크가 낮습니다.
3) 카테고리 연동 능력
번역 → 랜딩 → 광고 → 바이어 발굴과
인증·관세·IP 보호가 동시에 맞물려야 합니다.
지재권·관세 특화 바우처 등 이슈형 사업을
타이밍 맞춰 결합하면 효율이 크게 오릅니다.
30일 파일럿 운영안

✅ 스코프 압축
핵심국가 1~2개, 페르소나 2개
✅ AB 테스트
헤드라인/CTA/오퍼
✅ KPI 합의
목표 MQL, 예상 CPL 범위 먼저 확정
✅ 이탈 이유 기록
폼 이탈/국가 불일치/인증 미비를 주간 체크
✅ 의사결정
30일 리뷰 → 60~90일 확장 또는 보정
📌 짧게 검증, 길게 투자.
초기 실패는 값싸게 경험하세요.
수행기관 체크리스트

✔ 레퍼런스/지표
업종·국가별 CPL/MQL/전환율을 숫자로 주는가
✔ 데이터 추적
UTM·GA4·CRM 연동,
주간 리포트/정산 템플릿 보유
✔ 운영 체계
주간 스프린트, 리스크 로그,
미달 시 우선순위 재배치
✔ 연동 역량
인증·관세·IP 과제를 일정/산출물에 함께 관리
✔ 현지화 품질
용어집·로컬 키워드·법규/라벨링 반영, 랜딩 적합성
✔ 채널 믹스
검색/디스플레이/리타겟/전시/바이어DB/
링크드인 인메일 오케스트레이션
흔한 실패 패턴
1. 예산을 쪼개서 여러 소서비스에 분산
2. 규제/인증을 늦게 확인해 리드 후속 지연
3. 번역만 하고 오퍼·가치제안 현지화 미흡
4. KPI·QC 기준을 초기 합의 없이 시작
신청·이용 한눈에
📌 어디서?
수출바우처 포털
: 공고 확인 → 온라인 신청 → 수행기관 선택
📌 무엇을?
해마다 다르나 10여 개 + 분야·수천 개 서비스 등록
📌 어떻게?
목표·타깃국·채널 정리 → 제안 비교
→ 30일 파일럿 시작
ROI는 파트너가 만든다

수출바우처는 자율형입니다.
같은 예산도 파트너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역할·책임·지표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기관과 상생 파트너십을 맺으세요.



